[우리말 바루기] '-찮다'와 '-잖다'
‘녹록하지 않다’ ‘심상치 않다’를 줄여 쓸 때 어떻게 해야 할까. ‘심상찮다’로 줄이는 것처럼 ‘녹록찮다’로 표현하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‘녹록잖다’라고 해야 바르다. ‘녹록하지 않다→녹록지 않다→녹록잖다’와 같이 줄어든다. ‘심상찮다’와 달리 ‘녹록잖다’의 표기법은 낯설지만 구분해 써야 한다. ‘-하지 않다’가 줄어들 때 앞소리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. 맞춤법 준말 규정에 반영한 결과다. ‘-하다’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과 어미 ‘-지 않다’가 결합해 줄 때 그 앞소리가 울림소리인지 아닌지에 따라 ‘-찮다’로도, ‘-잖다’로도 발음된다. ‘하’ 바로 앞이 울림소리(모음, ㄴ, ㄹ, ㅁ, ㅇ)이면 모음 ‘ㅏ’만 줄어 ‘ㅎ’이 뒤의 첫소리와 축약된다. ‘지’가 ‘치’로 소리 난다. 안울림소리(ㄴ, ㄹ, ㅁ, ㅇ을 제외한 자음)이면 ‘하’가 다 줄어든다. ‘만만하다’가 ‘-지 않다’와 결합해 줄면 ‘만만치 않다’가 된다. 되고, 이를 더 줄이면 ‘만만찮다’가 된다. ‘익숙하다’의 경우 ‘익숙하지 않다→익숙지 않다→익숙잖다’가 된다.우리말 바루기 맞춤법 준말 어간과 어미